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달러는 왜 세계 통화인가?

by road97 2025. 7. 22.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통화는 미국의 달러입니다. 여행을 가거나, 국제 거래를 할 때, 달러는 마치 ‘세계의 공용 화폐’처럼 사용됩니다.

그렇다면 왜 수많은 나라 중에서 미국의 돈인 달러가 세계 통화로 자리 잡게 되었을까요? 그리고 이 구조가 미국에 어떤 이익을 가져다주는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달러
달러

달러가 세계 돈이 된 이유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가장 강한 경제력을 가진 나라였습니다. 당시 세계 여러 나라들은 자국 통화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준이 되는 통화가 필요했고, 그 기준으로 미국 달러가 선택되었습니다.

이 구조는 브레튼우즈 체제라고 불리며, 다른 나라 통화를 달러에 연결시키고, 달러는 다시 금과 연결되는 구조였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금과의 연결은 끊겼지만, 이미 달러는 국제 거래의 중심이 되어버렸습니다.

달러가 주는 힘 – 미국의 특권

오늘날 석유, 금, 곡물 같은 중요한 자원은 대부분 달러로 거래됩니다. 그래서 미국은 자국 돈으로 세계 자원을 살 수 있는 특별한 위치에 있습니다.

또한 많은 나라가 경제 안정을 위해 달러를 보유합니다. 이 과정에서 미국은 달러를 발행하고, 세계 각국은 미국 국채를 사는 방식으로 돈이 미국으로 들어옵니다.

이처럼 미국은 자국 통화를 국제 화폐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금융·무역·투자 전반에서 이점을 누립니다.

달러 패권에 대한 도전도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러시아, 브릭스 같은 나라들도 달러에 대한 의존을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이 어떤 국가를 제재할 때, 그 수단으로 달러 결제망 차단을 사용합니다. 이것이 달러의 무기화라고 불리며, 이에 대한 불만도 커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확실한 국제 통화가 없기 때문에, 미국은 여전히 세계 경제의 중심에 있습니다.

📘 용어정리

  • 기축통화: 여러 나라에서 기준으로 사용하는 통화. 현재는 미국 달러가 대표적입니다.
  • 브레튼우즈 체제: 1944년 만들어진 국제 통화 제도. 달러를 중심으로 운영됨.
  • 달러 무기화: 미국이 외교나 제재 목적으로 달러 결제망을 차단하는 행위.
  • 위안화 국제화: 중국이 자국 통화를 세계 시장에서 더 많이 쓰이게 하려는 정책.
  • 외환보유고: 각국 정부가 보유한 외국 돈. 위기 시 경제를 보호하는 수단.